데이터로 본 K-Contents & Star
매체가 다양화 되면서 시청률 등 전통적인 조사외에 콘텐츠의 경쟁력을 평가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 시도되고 있다. [데이터로 본 K-Contents & Star] 코너는 그동안 온라인 상의 사람들의 반응, 화제성 지수 등을 통해 K-콘텐츠의 영향력과 경쟁력에 대해 다뤄왔다. 이번 글에서는 화제성 지수외에 더해 콘텐츠의 타겟별 경쟁력 평가를 위해 추가로 실시하고 있는 '검색반응 조사'에 대해 다루고자 한다.
'화제성'의 사전적 정의는 ‘남의 입에 오르내릴 이야깃거리가 될만한 성질’이다. 콘텐츠의 경쟁력과 소비 트렌드는 온라인 상에서의 화제성, 즉 버즈(buzz) 분석을 통해 파악 가능하다. 하지만 화제성에는 한 가지 아쉬운 점이 있다. 온라인에서 누가(나이, 성별) 프로그램에 관련하여 이야기하는지 정확히 알기 어렵다는 점이다.
이 문제를 보완하기 위해 화제성 분석 빅데이터 기업인 굿데이터코퍼레이션에서는 검색반응 조사를 함께 진행한다. 검색반응 조사는 사람들이 포털 사이트에서 특정 프로그램을 얼마나 검색했는지 분석하는 방법이다. 이 조사를 통해 어떤 검색자(연령대, 성별)가 프로그램에 관심을 가지는지 보다 명확하게 알 수 있다.
참고로 '검색반응 조사'는 포털의 오픈 API 시계열 트렌드와 '광고주 센터'의 검색량 데이터를 조합하여 수치화한다. 매일 업데이트 되는 수집 키워드 수천 여개를 통해 검색량을 산출한다. 총 8가지 방식으로 프로그램 관련 키워드 추출한 후, 프로그램별 △검색량△인구 통계 및 이슈△출연자 키워드 분석 등을 추가로 실시한다.
이번 글에서는 검색반응 조사가 앞서 언급한 화제성 조사의 한계를 보완할 수 있는지 알아보려고 한다. 만일 화제성이 높으면 검색량도 많아지는 경향이 실제 존재한다면, 검색반응에서의 검색자 결과를 화제성을 설명할 때 이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번 조사는 2024년에 방송한 TV 비드라마 232편을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화제성 조사와 검색반응 조사의 값 모두 프로그램의 주간평균(이하 주평균)을 내어 사용했다.
우선 주평균 화제성 TOP 10과 주평균 검색반응 TOP10을 비교해 보았다. 아래 [주평균 화제성 TOP10과 검색반응 TOP10 비교] 표의 화제성 TOP 10과 검색반응 TOP 10을 살펴본 결과, ‘2024 추석특집 아이돌스타 선수권 대회’, ‘미스터트롯3’, ‘연애남매’ 등 7편이 동일하게 포함되었다. 이는 화제성과 검색반응 간의 상관관계가 존재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두 번째로 이를 보다 정확히 알아보기 위해 통계분석을 실시해보았다. 주평균 화제성과 주평균 검색반응의 상관관계를 분석해보니, 두 값은 강하게 연결되어 있었다(Pearson 상관계수 0.733, 유의확률<0.01). 즉, 화제성이 높으면 검색반응도 높아지는 경향이 있다는 것이 수치적으로 확인되었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고자 아래와 같이 산점도 그래프와 표로 나타내보았다.
검색반응을 통해 화제성을 보완할 수 있다
그래프의 붉은 선이 나타내듯, 화제성과 검색반응은 상관관계가 높고 함께 움직이는 패턴을 보이고 있다. 즉, 화제성과 검색반응을 함께 보면, 어떤 사람들이 실제로 프로그램에 관심을 가지는지 확인 가능하다는 의미다.
이를 통해, [주요 프로그램별 연령대, 성별 검색비중] 표의 <연애남매>가 2030 연령대 여성 사이에서 화제성이 압도적으로 높은 작품이라고 볼 수 있다. 반면 <냉장고를 부탁해 since 2014>은 2030 연령대의 관심 비중이 높으면서도 남성과 여성 사이의 화제성이 고른 작품이라 할 수 있다.
4050 이상이 주 타겟인 음악경연 프로그램은 상대적으로 검색반응이 높음
그래프의 붉은 선에서 크게 벗어난 점(프로그램)은 불과 다섯 편 이하로 존재한다. 이러한 프로그램에는 ‘현역가왕2’, ‘미스터트롯3’ 등이 속한다. 해당 프로그램은 4050 이상이 주 타켓이며, 상대적으로 검색반응이 높다는 공통점을 갖는다.
본 칼럼은 화제성과 검색반응 데이터를 함께 분석함으로써 단순 화제성 분석만으로는 알 수 없던 시청층 특성을 파악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는 화제성 높은 프로그램에 검색반응 조사의 연령대, 성별 특징을 접목시켜 프로그램 맞춤 광고추천을 해줄 수 있는 가능성이 상당 부분 유의미하게 도출되었음을 시사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