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사회공헌은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일컫는 말로 이윤창출, 법률준수, 윤리적 책임, 자선적 책임 등 주요 4가지로 구분된다. 과거 기업의 존재 목적이 이윤 추구라는 고정관념에서 벗어나 최근 기업이‘사회 구성원' 임을 자각하고 사회적 주체로 의무와 책임을 다하기 위해 발벗고 나서고 있다.

전국경제인연합회가 지난해 11월 발간한 ‘2018 주요기업의 사회적 가치 보고서'에 따르면 2017년 기업 1곳당 평균 사회공헌 관련 지출 규모가 137억5900만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2016년 106억8,768만 원에 비해 28.7% 나 성장한 규모다.

 

사회공헌 지출규모가 2013년부터 4년간 역성장을 거듭하다. 2017년 들어 급증한데는 기업 전반에 사회 공헌이 '화두'로 떠오른 상황임을 알수있다. 또한 이는 기업 총수들이 젊어지면서 딱딱한 회장님의 이미지에서 벗어나, 변화의 물결을 주도하고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국내 주요 대기업은 과거부터 이어지고 있는 장학활동, 소외계층 후원 등의 전통적인 방식은 기본으로 사회적 책임(CSR) 조직을 꾸리고 활동에 나선지는 오래됐지만 총수들이 전면에 나서 사회적 가치와 역할에 대해 강조한 것은 최근에 두드러진 흐름이다. 또한 젊은 총수들에 의해 기존 사회공헌의 틀을 깨고 방식과 아이디어에서 독창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기업 총수중 사회공헌에 가장 선도적으로 나서고 있는 최태원 SK그룹 회장은 지난해 1월 스위스 다보스포럼에서 '기업가치에 대한 새로운 접근'이라는 주제로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해 기업이 해야 할 역할을 강조 하는 한편, 중국 보아오 포럼, 일본 니케 포럼에서 사회적 책임에 대한 본인만의 철학을 나누며 전세계적인 동참을 이끌어 내고 있다.

최 회장은 또‘사회적 가치 추구’를 경영평가 항목에 포함시키고, 기업의 자산을 협력사나 일반 대중에게 공유해 새로운 가치를 만들어내자는 '공유 인프라’실행을 주문하는 등 주요 계열사를 중심으로 다양한 실험을 지속해 가고 있다.

올해 창립 50주년을 맞은 삼성전자 이재용 부회장도 기업 투명성을 높이고 사회공헌을 통한 사회 가치 창출에도 주력할 방침임을 밝혔다. 삼성전자는 지난달 사회공헌 새 비전인 '함께 가요 미래로! 인에이블링 피플(Enabling People)'을 발표했다. 임직원들이 고유의 잠재 역량을 최대한 발휘해 결실을 맺을 수 있도록 회사가 최대한 지원할 방침이다.

아울러 올해 1월 문재인 대통령 초청으로 청와대에서 열린 ‘2019 기업인과의 대화’에서 ‘대한민국 1등 대기업으로서 사회적 책임을 다하겠다'며‘두아이의 아버지여서 그런지 젊은이들의 고민이 새롭게 다가온다, 소중한 아들•딸들에게 꿈과 희망을 줄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한바 있다.

이에 삼성전자는 특히 사회공헌의 새 테마로 '청소년 교육'을 제시하고 세계 각국의 청소년들이 미래 인재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할 방침이다.

정의선 현대자동차 수석부회장도 지난 2016년 2월 '미래를 향한 진정한 파트너'라는 중장기 비전을 선포하고 그룹 통합 사회공헌 체계 구축과 함께 새로운 사회공헌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현대자동차는 새로운 사회공헌 중심 분야인 드림무브는 청년 및 저소득층 등 사회 취약계층의 창업과 자립을 돕는 사업이다. 여기에 지난해 하반기부터는 5060세대인 신중년의 사회적 일자리 창출과 이를 통한 사회적 기업 성장 지원에 집중하고 있다.

최근 광주형 일자리는 총 1만100개의 일자리를 새로 만들어 고용시장 확대와 더블러 해당지역의 경제기반까지 확대하는 일종의 대규모 사회공헌 프로젝트다.

구광모 LG 회장도 지난 1월 서울 마곡 LG사이언스파크에서 열린 ‘2019 LG 새해인사모임'에서의 발언에 사회적 가치에 대한 고심이 고스란히 묻어있다.

구회장은 “그동안 성과의 기반이 LG가 추구해왔던 '고객을 위한 가치 창조’에 있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또한 선대 LG 회장들이 맡아왔던 LG공익재단 이사장을 맡지 않았지만 'LG 의인상' 수상 범위를 이웃에 대한 선행과 봉사를 실행한 사람으로 넓히면서 '사회와 함께하는 LG'의 이미지를 각인시키는데 노력하고 있다.

저작권자 © 반론보도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