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에 대한 우리 국민들의 호감도가 눈에 띄게 상승했다. 특히 기업의 사회공헌 활동에 대해 국민들의 긍정적인 평가가 많아졌다. 

대한상공회의소(회장 최태원)가 50주년 상공의 날을 맞아 지난 2월 전국 20세이상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우리 기업에 대한 국민들의 호감도를 조사한 결과, '기업호감지수'는 55.8점으로 10년 전인 2013년 상반기 호감지수 48.6점에 비해 15%이상 상승했다. 이는 조사를 시작한 2003년 이래 가장 높은 수치다.  

* ‘기업호감지수’ : 국민들이 기업에 대해 호의적으로 느끼는 정도를 지수화한 것으로 △국가경제 기여, △ESG경영, △생산성, △국제 경쟁력, △사회공헌의 5대 요소와 전반적 호감도를 합산하여 산정한다. 100에 가까우면 호감도가 높은 것이고, 0에 가까우면 낮은 것으로 해석하며, 기준점인 50을 넘으면 기업에 대해 호감을 가진 사람이 비호감을 가진 사람보다 많은 것을 의미한다.

△ 2013-2023 기업 호감도 지수 변화(자료=대한상공회의소)
△ 2013-2023 기업 호감도 지수 변화(자료=대한상공회의소)

'사회공헌활동'은 부정(40.9%)에서 긍정(53.7%) 전환...ESG, 생산성 향상도 큰 폭 상승

각 세부요소별로 10년간 호감도 지수변화를 살펴보면 기업의 '사회공헌활동’(40.9→53.7)과 ‘ESG경영 실천’(23.7→36.5)에 대한 호감도가 가장 높게 상승했다. 이어 ‘생산성·기술향상’(61.7→73.3), ‘국가경제 기여’(51.2→58.6)도 순이었다. 가장 높은 수치를 보여왔던 ‘국제경쟁력’(74.8→73.9) 항목은 10년 전보다 소폭 하락했다.

기업에 호감이 가는 이유로는 과반수의 응답자들이 ‘국가경제에 기여’(55.4%)를 꼽았고, 이어 ‘일자리 창출’(29.4%), ‘소비자만족 증진’(10.2%), ‘사회공헌 등 사회적 책임 수행’(2.8%), ‘준법·윤리경영’(2.2%) 등의 순이었다. 

기업에 호감이 가지 않은 이유로 국민들은 ‘준법·윤리경영 미흡’(64.3%)을 가장 많이 응답했고, ‘일자리창출 노력 부족’(13.5%), ‘소비자만족 미흡’(10.3%), ‘사회적 공헌 미흡’(5.6%), ‘국가경제 기여 미진’(4.8%) 등을 꼽았다.

언론보도나 본인·지인의 근무 경험 통해 기업에 대한 인식 형성 많아 

이번 조사에서 처음 실시한 '기업이나 기업인에 대한 인상을 어느 채널을 통해 주로 형성하는지를 묻는 질문'에 대해 ‘신문·방송 보도’(47.6%)를 꼽은 응답이 가장 많았고 ‘기업에 직접 근무하거나 근무하는 사람을 통한 직·간접 경험’(31.5%)이 뒤를 이었다. 기타 ‘드라마, 영화 등에서 그려지는 기업상’(7.2%), ‘정치권, 시민단체의 발언’(5.3%), ‘기업인의 SNS 활동을 통해 보여지는 이미지’(4.5%) 등의 순이었다. 

특히 절반에 가까운 응답자들이 기업 인식 채널로 '신문, 방송 보도'를 꼽은 것을 두고 모 기업 홍보담당자는 "(기업에 대한 잘못된 인식이 자리잡지 않도록) 일부 매체의 기업에 대한 허위, 왜곡 보도에 적극적적인 대응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최근 언론중재위원회에 유튜브 관련 조정 신청이 급증하고 있는데, 유튜브 상에 떠도는 가짜 뉴스에 대한 대응도 시급하다"고 덧붙였다. 

'한국기업의 세계무대에서 활약'으로 기업가정신 높아졌다고 인식  

급변하는 경영환경 속 우리 기업인들의 기업가정신은 10년 전보다 ‘높아졌다’라고 답한 비율이 27.1%를 기록했다. (‘낮아졌다’ 23.6%, ‘비슷’ 49.3%)

응답자들이 기업가정신이 높아졌다고 생각한 이유는 ‘한국기업의 세계무대에서의 활약’(42.8%)과 ‘미래 성장산업에 대한 적극적 투자’(35.1%)가 가장 많았다. 이어 ‘창업기업의 높은 성장세와 스타기업인의 등장’(14.0%), ‘환경, 지역 등 사회문제에 대한 적극해결 노력’(5.2%), ‘기업문화 선진화 노력’(2.9%) 등이었다.

기업에 바라는 점, 일자리(59%), 근로자 복지(46%), 고객만족(39%), 사회공헌(35%) 順

기업에게 바라는 우선 과제로는 ‘양질의 일자리 창출’(59.1%)이 가장 많았다. 뒤이어 ‘근로자 후생복지 향상’(46.4%), ‘신제품 개발, 서비스 개선 등 고객만족’(39.4%), ‘환경·지역사회 문제해결’(34.8%), ‘글로벌 경제위기 극복 기여’(30.1%), ‘준법경영 및 일탈 방지’(29.8%), ‘차세대 인재양성’(25.9%) 등이 응답됐다. 

강석구 대한상의 조사본부장은 “기업에 호감가지 않는 이유로 사회적 공헌이 부족하다고 답변한 비율이 10년 전 22.5%에서 5.6%로 크게 줄어드는 등 기업들의 꾸준한 사회공헌 노력을 국민께서 긍정적으로 평가해주신 것으로 보인다”며, “경제계는 급변하는 국제환경에 대비하기 위해 기업 경쟁력을 더 많이 키우고, 투명한 ESG경영을 실천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반론보도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