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50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국내 기업들의 환경경영이 활성화되고 있는 가운데, 기후 위기 대응 움직임과 함께 친환경 투자는 더욱 가속화될 전망이다.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는 18일 기업들이 발간한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토대로 분석한 '2022 K-기업 ESG(환경·사회·지배구조)백서'를 발표하고, 우리나라 매출액 상위 100대 기업이 2021년 한 해 환경·안전 분야에 5조원 상당을 투자했다고 전했다.

백서에는 매출액 상위 100대 기업의 주요 기업의 모범사례 및 ESG 경영전략 등 내용이 담겼다.

▲환경 관련 주요 성과, 전경련 제공
▲환경 관련 주요 성과, 전경련 제공

백서에 따르면 지난해 100대 기업의 온실가스 배출량은 2억6천727만tCO2eq로, 전년 대비 4.7% 늘어났다.

최근 2년간 감소세(‘19년 → ‘20년 3.2% 감소)를 보이던 기업 온실가스 배출량이 증가세를 보였는데, 이는 코로나 사태 완화와 확장 재정 기조에 따른 기업 생산량 증가가 온실가스 배출로 이어졌다는 것이 전경련 측 해석이다.

반면 매출액 대비 온실가스 배출량은 3년 연속 감소세를 보이며 기업이 배출하는 온실가스는 점차 관리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매출액 상위 100대 기업의 환경과 안전에 대한 투자 규모는 2021년 약 5조 4,400억 원으로, 전년(‘20년 약 2조 9,000억 원) 대비 약 87.6% 증가했다.

이에 대해 전경련 관계자는 “ESG 경영이 가속화되며 친환경 사업구조로의 전환이 활발해지고, 환경ㆍ안전 설비 등에 대한 투자 공감대가 확산된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기업들, 탄소중립, 생물다양성, 순환경제 등 다양한 활동 전개

백서는 환경(E), 사회(S) 분야에서의 기업 활동도 소개했다.

먼저 환경 분야에서 기업들은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 2030 달성을 위한 전략을 수립했는데, 대표적으로 2050 탄소중립 로드맵을 발표한 포스코를 꼽았다.

탄소 배출량 감축을 위한 GS리테일의 친환경 매장 운영 사례도 소개했다. 이 외에도 삼성디스플레이의 생태 식물섬 조성 사례, SK㈜의 순환경제 활성화 사례 등을 언급했다.

​연합뉴스TV 제공 ▲공급망 ESG 관련 주요 성과, 전경련 제공
​연합뉴스TV 제공 ▲공급망 ESG 관련 주요 성과, 전경련 제공

사회 분야에서 산업 안전 관리와 디지털 책임성 강화, 공급망 ESG 관리 등을 주요 활동으로 꼽았다.

특히 상생 지원펀드 조성금액과 공급망 ESG 관리사들은 지난 2년간 꾸준히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지난해 상생 펀드 규모는 5조3천억원으로, 전년 대비 65.7% 증가했다.

기업 사례로는 ‘중대재해예방위원회’를 설치해 운영하고 있는 LS전선 사례부터 임직원들의 2차 안전사고와 PTSD등 정신건강 위해요소 예방을 위해 트라우마 관리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현대제철 사례 등을 소개했다.

한편 기업들은 ESG를 사내 리스크 관리와도 연계해 기회요인을 찾기 위한 방안으로 활용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포스코건설은 자체적으로 친환경ㆍ친사회 사업을 분류하는 ‘P-Taxonomy1)’를 수립해 사업 수주 단계에서부터 수행 전반에 대한 ESG 리스크와 기회요인을 검토, 경영진의 의사결정에 활용하고 있다.

1) P-Taxonomy : EU와 한국에서 발표한 Taxonomy(분류체계)를 참고한 포스코만의 독자적 분류체계. 해당 분류체계를 활용해 포스코가 당면한 친환경, 친사회 사업을 검토한다.

저작권자 © 반론보도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