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 미국에 이어 한국도 '유튜브 광고 보이콧'을 하는 사태가 벌어졌다. 구글측은 '모니터링 강화'를 대책으로 제시했다.

지난 17일 영국 일간 더타임스가 '납세자들이 극단주의 단체들을 돕고있다"고 폭로하면서 불거졌다. 영국정부는 연간 600만 파운드(약 84억원)를 들여 BBC방송과 영국 정부 활동을 온라인에서 홍보했는데 일부 광고가 극단주의 단체(백인 우월주의 단체 큐 클럭스 클랜(KKK)의 홍보 영상에 붙었다는 것이다. 이는 영국 뿐 아니라 유럽, 미국까지 유투브 광고 보이콧 확산 사태로 이어졌다.

유튜브는 영상 내용과 관련한 광고를 자동으로 배치하는 시스템으로 동영상을 올린 게시자에게 광고 수익이 배분되는 구조다. 기업입장에서는 마치 극단적인 단체를 후원하는 이미지로 손해를 입었다고 판단한 것이다.

문제는 국내 기업도 그 피해를 입었다는 것이다. CJ제일제당은 지난 4일 최근 유튜브와 계약한 '흑삼 한뿌리' 광고를 해지한다고 밝혔다. 해당 광고가 일본에서 제작된 '혐한'콘텐츠에 노출됐기 때문이다. CJ제일제당은 "의도과 상관없이 국민 정서에 반하는 콘텐츠가 임의로 노출된 점으로 고려해 중단키로 했다"고 밝혔다.

▲ CJ제일제당의 '흑삼 한뿌리' 광고화면.

필립 쉰들러 구글 최고사업책임자(CB)는 공식 사과문을 내고 모니터링 인력 확대, 머신러닝 기술을 통한 콘텐츠 맥락 파악 강화 등의 개선책을 발표했다. 똑같이 복면을 쓰고 있어도 영화 배우가 나오는 것과 IS조직원이 나오는 영상을 구분해 적용하겠다는 것이다. 구글은 향후 '제3자 브랜드 안정성 보고서'를 내겠다고 밝혔다.

문제가 있는 콘텐츠에 대한 '광고차단'이 제대로 이어질지 미지수다. 콘텐츠의 '맥락'을 기계가 완벽하게 파악하는 건 쉽지 않기 때문이다. 걸러내야 할 콘텐츠 기준이 명확한 것도 아니다. 국내 기업들도 이번 사태를 예의주시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논란이 될만한 영상에 삼성 광고가 노출되지 않도록 자체 모니터링중"이라고 밝혔고 현대자동차나 LG전자도 "혐오 콘텐츠나 폭력적인 내용을 담은 영상에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고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반론보도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