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기준 국내 콘텐츠산업 수출액은 124억 달러에 달했다. 이는 가전의 86억 달러를 훌쩍 넘는 수치다. 콘텐츠산업에서 게임의 뒤를 이어 K-팝(7.7억 달러) 못지 않게 인기를 누리는 것이 바로 K-드라마를 위시한 방송 콘텐츠(7.1억 달러)다. 

K-드라마의 경쟁력은 수치로 보이는 것 이상이다. 라면 등 우리 대표 상품들이 K-드라마, 영화의 인기를 등에 업고 해외에서 큰 인기를 누리고 있는 것은 이미 잘 알려진 사실이다. K-드라마는 이제 대표적인 대한민국 수출상품으로 자리잡았다.  

그런데 만약 독자 여러분이 K-드라마를 해외 시장에 소개를 해야 하는 입장이라면 각 작품의 경쟁력을 어떻게 홍보하고 마케팅 할 수 있을까? 아래 두 편의 드라마 <더 킹:영원의 군주>와 <갯마을 차차차> 중 한편을 골라 좋은 조건으로 계약을 해야 한다면 어느 작품을 선택 하게 될까? 

시청자들은 두 편의 작품을 어떻게 기억하고 있을까? TV를 통해 시청을 한 작품도 있을 것이고 시청은 못했으나 워낙 인지도가 높아 어느 정도 들어본 정보가 많을 수 도 있다. 

포스터만 본다면 <더 킹>의 출연진이 화려하면서 제작 규모도 훨씬 크게 느껴지고, <갯마을 차차차>는 사랑스러운 로멘스 작품이구나 할 수 있다. 하지만 두 편 모두 방송이 된지 이미 2~3년이 지났기 때문에 시청률과 같은 구체적 정보를 기억하기는 어려울 것이다.

기억을 되살리고자 포털을 통해 검색을 해본다면 이런 결과 정도는 찾을 수 있다. 

<더 킹:영원의 군주>와 <갯마을 차차차> 각각 최고 시청률이 11.6%와 12.7%로 비슷하다. 화제성 순위는  <더 킹>이 1위를 3회 차지했고 <갯마을>은 1위를 4회 차지하는 등 이 부분도 큰 차이가 없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제 자신있게 한편을 선정한다는게 애매해졌으니, 결국 모든 에피소드를 시청 후 재미 있는 작품을 판단해야 할까?

이 때 이런 추이 그래프가 제공되면 어떨까?

자료=굿데이터코퍼레이션 펀덱스(Fundex) 
자료=굿데이터코퍼레이션 펀덱스(Fundex) 

<더킹:영원의 군주>는 시청률 화제성 모두 방송 초반에 최고 성적을 올린 후 방송 중 후반으로 갈수록 크게 하락한 결과를 볼 수 있다. 반면 <갯마을 차차차>는 <더 킹>과 다르게 낮은 시청률과 화제성으로 시작했다. 방송전만 해도 기대치가 낮았기 때문이다.

하지만 방송이 진행되면서 시청률과 화제성이 큰 폭으로 상승하는 추이를 보이고 있다. 첫 방송 후 시간이 흐를수록 경쟁력 지표가 하락하는 드라마와 상승하는 드라마가 있다면 어떤 드라마가 보다 재미있고 경쟁력이 있다고 생각할 수 있을까? 

보통 최고 시청률이 그 드라마를 대표하는 기록으로 남는다. 그런데 시청률이 방송 초반에 최고점을 찍은 후 △계속 하락했다△꾸준히 상승했다△수평을 그리며 유지가 되었다 등은 사실 우리가 기억할 수도 외우기도 어려운 데이터다. 일반인은 물론 방송 전문가들도 마찬가지다. 

그럼 이렇게 기록을 해두면 어떨까?

자료=굿데이터코퍼레이션 펀덱스(Fundex) 
자료=굿데이터코퍼레이션 펀덱스(Fundex) 

지난 기사 '인간은 MBTI, 드라마는 FUNdex'(8.30)에서 소개된 굿데이터코퍼레이션의 펀덱스(FUNdex)는 총 20가지의 레벨로 구분된다.  

<더킹:영원의 군주>는 XL-2, <갯마을 차차차>는 XL+1에 해당된다. 두 편 모두 화제성의 크기가 XL에 해당된다는 것은 화제력이 강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사람들 사이에서도 매우 많이 회자가 됐다는 뜻. 

그런데 Fx 즉 재미강도지수에서는 <더킹:영원이 군주>가 -2를 기록했는데 이는 방송이 진행 될수록 화제성이 크게 감소한 작품이란 의미다. 반면 <갯마을 차차차>는 +1을 기록하면서 화제성이 방송이 진행되면서 지속적으로 증가를 했다는 표시다.

이렇게 두 작품을 XL-2과 XL+1로 최종 기록함으로서 여러분이 작품에 대한 경쟁력을 쉽게 기억하고 쉽게 추천 및 설명 할 수 있게 된다.

자료=굿데이터코퍼레이션 펀덱스(Fundex) 
자료=굿데이터코퍼레이션 펀덱스(Fundex) 

아직 연구 중이긴 하나 펀덱스를 시청률에 적용하는 것도 생각해볼 수 있다. 시청률이 10%대인 작품이면서 방송 중 후반으로 갈수록 시청률이 하락하는 수준에 따라 작품을 10%-1 또는 10%-2로 기록하는 것이 가능하다. 반면 시청률이 증가하거나 아주 크게 확대 되는 경우는 10%+1 또는 10%+2로 기록을 하면 된다.

시청률이 10.1%인지 10.3%인지를 마이크로하게 기억하는 것은 중요하지 않다. 시청률을 크게 4등분 또는 5등분으로 구분하고 여기에 FX 재미강도지수를 적용하면 기억하기도 쉽고, 방송시장에서 원활한 커뮤니케이션에 도움이 될 것이다. 마치 영화의 흥행 성적을 1000만 영화, 500만 영화, 100만이 안된 영화로 커뮤니케이션 하는 것과 같이.

저작권자 © 반론보도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