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료 한국경제연구원
△ 자료 한국경제연구원

올해 성장률이 1.3%에 그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금융위기(2009~2011년)와 코로나19(2020~2021년) 등 경제위기 기간을 제외하면 가장 낮은 실적이다.

한국경제연구원(한경연)은 이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KERI 경제동향과 전망 2023년 3/4분기' 보고서를 11일 발표했다.

경제 여건 부실화·주요국 경기회복 지연 가시화

한경연이 올해 경제성장률을 1.3%로 전망한 이유는 부진을 겪고 있는 한국 경제가 연내에 부정적인 경기 흐름을 반전시키기 힘들 것이란 분석이 나와서다. 

대내적으로는 장기간 점진적으로 진행돼 온 경제 여건의 부실화와 성장 모멘텀 약화, 대외적으로는 중국 등 주요국의 경기회복 지연이 가시화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한경연은 내수 부문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민간소비가 2.1% 성장에 그치며 부진을 면치 못할 것으로 내다봤다. 

기업실적 부진으로 인한 명목임금상승률 정체와 고물가 등으로 인한 실질구매력 약화로 소비여건이 극도로 위축되면서 하방압력이 강화되고 있다는 것. 금리급등에 따라 가중된 가계부채 원리금 상환부담 등 구조적 원인도 민간소비 회복을 제약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했다.

마이너스 성장을 지속해 온 설비투자는 내수침체와 글로벌 경기위축에 따라 반도체 등 IT 부문 외 투자가 모두 급감하면서 2.3% 역성장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다. 건설투자도 원자재가격 상승에 따른 건축에서 공사 차질과 부동산PF 부실 등 불안 요인이 해소되지 못하며 0.7%의 감소세를 보일 것으로 예측했다.

금융기관 부실화 우려 현실화…전체 위기로 확대될 수도

또 한경연은 수출도 기대했던 중국의 리오프닝 효과가 미약한 수준에 머물고 있는 가운데 미국 등 주요국의 경기회복까지 일부 지연되고 있어 0.1% 성장에 그칠 것으로 예상했다. 

한경연 이승석 부연구위원은 "중국의 리오프닝에 대한 기대가 올해 안으로 실현될 가능성은 맺우 낮아진 상황"이라며 "중국의 경기 반등 무산으로 인한 영향이 미국 등 주요 교역국으로 파급된다면 성장률은 더 낮아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경기불황과 고금리 상황 지속에 따라 연체율 급등 및 금융기관 부실화에 대한 우려가 현실화되기 시작했다"며 "금융시장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하지 않는다면 예기치 못한 금융시장의 충격이 경제시스템 전체의 위기로 확대되는 불상사가 발생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반론보도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