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정치권을 중심으로 네이버가 뉴스 알고리즘 변경 중 '언론사 인기도 순위' 선정 방식을 변경해 뉴스 검색 노출에 개입했고 '메이저 언론사의 순위를 낮췄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는 가운데, 방송통신위원회(위원장 직무대행 김효재, 이하 ‘방통위’)가 네이버의 뉴스 검색 알고리즘에 대한 조사에 나선다.

지난 2일 방통위는 최근의 네이버 뉴스 검색 알고리즘 인위적 개입 보도와 관련하여 전기통신사업법 상 금지행위 위반 여부 등에 대해 실태점검을 실시한다고 밝혔다.

전기통신사업법 제50조(금지행위) 및 동법 시행령 제42조는 전기통신 서비스를 이용하여 다른 서비스를 제공하려는 자에게 불합리하거나 차별적인 조건·제한을 부당하게 부과하는 행위를 금지하고 있다.

방통위는 네이버가 이용자의 소비패턴에 따라 뉴스를 노출·추천하는 인공지능 기반 포털 뉴스 알고리즘의 검토위원회를 구성·운영하면서, '언론사 인기도 지표'를 인위적으로 적용하고 이를 통해 특정 언론사가 부각되거나 불리하게 하였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고 밝혔다. 

방통위는 해당 규정 위반여부를 점검할 예정이다. 방통위는 실태점검을 통해 위반행위가 인정되는 경우 사실조사로 전환할 계획이며, 위반행위가 사실로 확인될 경우 관계법령에 따라 관련 역무 연평균 매출액 최대 3%까지의 과징금 부과 및 형사고발 등의 처분에 나설 계획이다.

또한 방통위는 이번 사태를 계기로 향후 미디어 시장을 왜곡시키는 포털 등 부가통신사업자의 위법행위를 엄단해 나가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언론사 인기도 순위' 20개 요소중 하나일뿐...정치적 이유로 편항 설계할 이유 없어

이에 대해 "네이버 알고리즘은 특정 정치권의 영향에 의해 편향되게 설계할 이유가 없다"고 반박했다. 네이버는 "네이버의 뉴스 알고리즘은 20여개의 요소로 구성되어 있다"면서 "언론사 인기도 순위 등 특정 요소 하나가 검색 결과를 바꿀만큼 영향을 주는 요소는 아니다"라고 못박았다. 

'언론사 인기도 순위'는 지난 19년 3월 뉴스 알고리즘 요소중 하나로 새롭게 도입되었는데,  '생소한 언론사가 자주 노출되는 이유가 바로 구글과 같은 타 검색회사가 사용하는 PageRank와 같은 형태의 출처 인기도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이라는 1차 알고리즘 검토위원회의 의견을 받아 적용된 것으로 알려졌다.   

네이버에 따르면 이번 문제가 되고 있는 '언론사 인기도 순위' 의 경우 지난 2021년 8월 '언론사 피인용 지수'를 추가 도입하여 업데이트 되었다. 이전까지는  계열사가 많은 미디어의 경우, 계열사별 사이트에 동일한 인기가 적용되었다. 즉 A신문, A신문계열 매체 모두 동일 사이트 도메인 점수, 즉 인기도 점수를 받았다.

네이버 측은 "이 점수 자체가 검색 결과에 큰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지만, 보다 정확한 검색 결과를 위해 '언론사 피인용지수'를 도입했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언론사 성향과 상관없이 특정 언론사별로 순위의 등락이 있었다는 것이다.  *언론사 피인용지수 : 동일한 사이트(URL)를 사용하는 언론사들 간(OO일보/OO 계열 매체, □□일보/□□계열 매체) 분리를 위해, 기사 본문 내 특정 언론사의 기사를 인용하는 횟수를 추출하여 반영

네이버는 "언론사 인기도 순위는 2차 알고리즘 검토위원회를 통해 검증받았다" 면서 "검토위원회 역시 검토 과정을 투명하게 진행했고, 항상 '정당' 추천을 통한 참여까지 고려해왔다"고 말했다. 이어 네이버는 "지난 29일부터 제3차 검토위원회가 활동에 들어갔다"면서 "이번에 제기된 문제들을 3차 위원회에서 철저히 검증해 투명하게 발표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반론보도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