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방통위, TV수신료 분리징수 개정안 입법예고

6월 16일 방송통신위원회(김효재 위원장 직무대행)가 TV수신료(KBS·EBS 수신료) 분리징수를 위한 방송법 시행령 개정안을 입법예고했다.

대통령실이 수신료 분리징수를 권고한 지 11일, 방통위 전체회의에서 시행령 개정안이 접수된 지 이틀 만이다. 방통위가 개정하려는 조항은 수신료-전기요금 통합징수의 근거인 제43조 2항인데 현행 ‘지정받은 자(한전)가 수신료를 징수할 때 고지행위와 결합해 행할 수 있다’를 ‘행해서는 아니된다’로 개정해 수신료를 전기요금과 분리징수하도록 한 것이다.

시행령 제‧개정에 대한 입법예고 기간은 통상 40일 이상이지만, 방통위는 오는 26일까지 10일간으로 정했다. 방통위는 빠르면 이달 말 전체회의에서 개정안을 의결할 전망이다.

정부의 수신료 분리징수 추진에 반발해온 KBS는 21일 방송법 시행령 개정절차를 멈춰 달라며 가처분 신청을 냈다.

□ 매경·한경 '디지털 편성표' 공개

한국경제(한경)와 매일경제(매경)가 이달 들어 자사 온라인 콘텐츠를 요일·시간대별로배치한 디지털 편성표를 공개하고 나섰다.

올해 초 동아일보(동아)가 방송사의 전유물이던 편성 개념을 신문사 온라인 부문에 도입, 주간 편성표를 선보인 시도가 주요 신문사에서 이어지는 모양새다.

자체 독자 확보란 목표를 넘어 궁극적으로 유료화 등 디지털 수익모델 마련을 위한 행보로 콘텐츠 종류, 편성 전략, 성패 여부 등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신문협회, SNS 플랫폼 운영 현황 조사

신문협회보가 최근 27개 재경 회원사의 SNS 채널 운영 현황을 조사했다.

회원사들이 가장 많이 이용하는 플랫폼은 유튜브로 총 105개의 유튜브 채널을 운영하고 있다. 이어 페이스북 채널이 46개로 두 번째로 많았지만 점점 이용도가 떨어지는 것으로 조사됐다. 반면 인스타그램(57개)과 틱톡 (25개) 등 영상 플랫폼의 강세가 두드러졌는데 영상콘텐츠 가운데도 특히 숏폼 콘텐츠에 회원사들의 관심이 많았다.

□ 기자협회, '성추행' 전 JTBC 기자 2명 제명

한국기자협회는 몽골 취재 일정 중 다른 언론사 기자들을 성추행한 전 JTBC 기자 2명을 ‘제명’하기로 결정했다고 6월 13일 밝혔다.

제명은 기자협회 회원 자격을 상실하는 징계로, 경고·자격정지·제명으로 구분된 징계종류 중 가장 높은 단계다. 기자협회는 이날 홈페이지에 입장문을 내고 몽골 파견 인원 선발 과정에 대한 사과와 함께 재발방지 대책도 공개했다.

□ SBS, 예능본부도 분사키로… 드라마본부 이어 두 번째

SBS가 드라마본부에 이어 예능본부를 분사하기로 했다.

예능 스튜디오가 출범하게 되면, SBS에 현 조직도상 남아있는 본부(실, 센터 포함)는 보도본부, 시사교양본부, 라디오센터, 경영본부, 콘텐츠전략본부, 대외협력실 등이다. 2020년 SBS는 드라마본부를 분사해 스튜디오S를 출범시켰다. 지난 7~9일 실시된 SBS 예능본부 구성원 대상 ‘예능 스튜디오 출범’ 동의 투표에서 재적 인원 68.7%의 찬성률로 통과돼 분사 추진이 결정됐다. 구성원 동의 절차를 마무리한 SBS는 연내 예능스튜디오 출범을 목표로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 ‘2021~2022년 인터넷신문 정부광고 집행 현황’

미디어오늘이 유정주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을 통해 확보한 ‘2021~2022년 인터넷신문정부광고 집행 현황’에 따르면 지난해 경기일보는 언론사 중 가장 많은 인터넷신문정부광고를 수주했다.

경기일보가 수주한 정부광고는 584건, 광고료는 27억2400만 원이다.

인터넷신문 정부광고료 기준 1~5위 매체는 모두 경기인천 지역신문사였는데 2위는 경인일보(21억9000만 원, 481건), 3위는 중부일보(21억6900만 원, 512건), 4위는 인천일보(20억1100만 원, 454건), 5위는 기호일보(17억1800만 원, 468건) 순이다.

이는 지방자치단체들이 광고매체를 지면에서 온라인으로 바꾼 영향으로 풀이되고 있다.

10억 원 이상의 인터넷신문 정부광고를 수주한 언론사는 프레시안(16억6500만 원),매일신문(16억4800만 원), 국제뉴스(16억2900만 원), 머니투데이(12억4500만 원), 파이낸셜뉴스(12억3100만 원), 서울신문(12억300만 원), 동아일보(11억9200만 원), 경기신문(11억2000만 원), 오마이뉴스(11억800만 원), 한국일보(10억8100만 원), 아시아투데이(10억4400만 원) 순이다.

이 중 오마이뉴스와 파이낸셜뉴스의 정부광고가 2021년도 대비 큰 폭으로 하락한 반면 머니투데이(12.9%p 상승), 아시아투데이(11.9%p 상승), 프레시안(9.3%p 상승), 국제뉴스(8.5%p 상승) 광고료는 대폭 상승했다.

 

저작권자 © 반론보도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