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국민 다수는 소비자가치 제고, 친환경 등 기업들의 사회적 책임 이행 수준이 과거에 비해 신장되었으며, 기업들의 사회적 책임 강화가 국민 삶의 질과 행복에 긍정적 영향을 준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유시장경제 키워드] ‘시장․소비자 권한 강화’(29.6%) > ‘경제상 자유와 창의’(24.7%)

전국경제인연합회(이하 전경련)가 여론조사기관 모노리서치에 의뢰하여 일반 국민 1,000명을 대상으로「자유시장경제와 기업의 역할에 관한 국민인식조사」를 실시한 결과, 국민 셋 중 한 명(29.6%)은 자유시장경제의 핵심키워드로 ‘시장·소비자 권한 강화’를 꼽았다. 다음으로 △개인과 기업의 경제상의 자유와 창의(24.7%) △시장기능을 통한 효율적 자원 배분(24.6%) △기업 간 경쟁을 통한 경제발전의 촉진(16.9%) 등을 응답했다.

또한 상당수 국민들은(74.6%) 외환위기 이후 한국의 자유시장경제가 발전해왔다고 평가했다. 퇴보했다고 응답한 비중은 11.4%에 불과했다.

이는 우리나라가 자유시장경제의 발전으로 민간의 자율성이 크게 신장되었으며, 그 결과 국민들은 시장과 소비자의 권한 강화를 자유시장경제의 핵심 키워드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풀이된다.

[기업의 본질] 투자와 고용확대(40.4%) > 이윤 등 경제적가치 창출(30.3%)

기업의 본질적인 역할을 묻는 질문에서 응답자의 40.4%는 투자와 고용확대를 가장 많이 꼽았고 이윤 등 경제적가치 창출(30.3%)이 뒤를 이었다. 다음으로 △사회적 책임 강화를 통한 국민 삶의 질 개선(15.4%) △사회 불평등 완화(7.9%) △창의와 혁신을 통한 사회변화 선도(6.0%) 순으로 나타났다.

[기업의 사회적 책임 이행 수준 평가] 강화(58.2%) > 비슷(27.0%) > 약화(12.8%)

국민 절반 이상은 기업의 사회적 책임 이행 수준이 과거에 비해 높아졌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외환위기 이후 기업의 사회적 책임 이행 수준을 평가하는 질문에 대해 강화(58.2%) 됐다는 답변이 비슷(27.0%), 약화(12.8%) 보다 많았다.

기업들이 잘하고 있다고 평가한 사회적 책임(CSR) 분야는 소비자가치제고(28.3%)가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지역사회참여(16.7%) △지배구조 개선(16.2%) △친환경(15.7%) 등의 순이었다.

국민들은 사회적 책임의 이행 수준이 높은 기업의 제품을 우선 구매하려는 경향이 높았다. 사회적 책임을 적극적으로 이행하는 기업의 제품을 구매하겠다는 응답이 87.3%(매우 그렇다 30.6% +그런 편이다 56.7%)로 나타난 반면, △구매와 무관하다(9.9%), △잘 모르겠다(2.8%)는 상대적으로 낮은 응답비중을 보였다.

전경련은 자유시장경제의 확산․발전으로 소비자들의 권한이 확대되고 있는 상황이므로, 기업들은 지속가능한 성장을 담보하기 위해서라도 소비자들이 중시하는 사회적 책임 이행을 강화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기업의 사회적 책임 강화와 국민 삶의 질] 긍정적 영향(87.5%) > 부정적 영향(2.3%)

우리 국민 대다수(87.5%)는 소비자가치 제고, 친환경 등 기업의 사회적 책임 강화가 국민 개개인의 삶의 질과 행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보았다. 기업의 사회적 책임 강화의 국민 삶에 대한 영향을 묻는 질문에 대해 △매우 긍정적 영향(29.6%) △다소 긍정적 영향(57.9%)로 긍정적 평가가 △무관(10.2%) △다소 부정적 영향(1.6%) △매우 부정적 영향(0.7%)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강화해야할 사회적 책임 분야] 양질의 일자리 제공(20.8%) > 환경보호(18.4%)

국민의 삶의 질과 행복 증진에 이바지하기 위해 향후 기업의 사회적 책임이 강화되어야 할 분야로는 △고용안정․양질의 일자리 제공(20.8%), △오염방지‧기후변화 대응(18.4%), △법규 준수 및 윤리경영(14.3%), △소비자보호 및 분쟁 해결(11.1%) 등이었다.

추광호 전경련 경제산업본부장은“기업은 생존과 성장을 위해서라도 시장과 소비자의 요구에 더욱 더 충실해야 하고, 이를 위한 기업의 노력은 더욱 확대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반론보도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