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우리 경제가 환율 상승이나 원자재 가격 상승 등 대외 요인으로 물가 상승 압력이 커지면서, '스태그플레이션'에 빠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왔다.

현대경제연구원은 5일 '스태그플레이션 가능성이 커지는 한국경제' 보고서를 통해 "공급자 측에 의해 주도되는 비용상승형 인플레이션으로 수년간 지속하던 저성장-저물가 기조는 마감되고 저성장-고물가 기조로 이행해 갈 가능성이 있다"며 "국내 경제의 스태그플레이션 진입도 배제할 수 없다"고 말했다.

보고서는 최근 물가 상승 요인을 수요자 측 요인과 공급자 측 요인, 대외 요인으로 구분했다. 수요 측 요인으로 보면 올해 경제성장률은 잠재성장률 수준(2.7%)보다 낮은 2.3% 수준으로 예상되며, 디플레이션갭이 지속하면서 물가상승압력이 여전히 낮다.

그러나 공급 측에서는 유가와 원자재 가격이 점차 오르며 물가 상승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지난해 초 배럴당 20달러 후반까지 떨어졌던 국제유가는 최근 50달러 중반 수준까지 올랐다.

농산물 물가도 폭염과 가뭄에 따른 작황 부진으로 지난해 9월 전년동기대비 12.8% 급등했으며 이후에도 설 수요 확대 등으로 불안정한 흐름이 이어지고 있다. 또 축산물은 조류인플루엔자(AI) 영향으로 계란 가격이 급등하는 등 물가 상승폭이 확대됐다.

국제유가와 원자재 가격은 올해도 상승세를 보일 전망이다. 주요 전망 기관은 국제유가가 올해 말 50달러 후반까지 오를 것으로 보고 있다.

대외 요인으로는 원/달러 환율이 오르면서 물가 상승의 요인이 되고 있다.

지난해 9월만 해도 1,100원대이던 원/달러 환율은 트럼프 당선으로 인한 불확실성 증가와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 등으로 상승 추세를 보였다.

주요국 물가 역시 오름세다. 해외물가의 상승은 교역재 부문을 통해 국내 물가에 전이된다.

미국은 임금 상승에 따른 수요 증가 등에 힘입어 소비자물가상승률이 연준의 물가상승률 목표치인 2%에 근접해 가고 있다. 저물가가 이어지던 중국 역시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2.1%까지 확대되었다.

김천구 현대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비용 상승으로 인한 인플레이션은 내수심리를 위축시켜 소비와 투자 등 실물 부문의 침체를 가속할 수 있다"며 "정책금리 인상과 인하 모두 어렵게 해 통화정책 역시 제약될 가능성이 크다"고 우려했다.

이어 그는 "국내 경제의 스태그플레이션 진입 가능성을 차단하고 서민들의 부담이 가중되지 않기 위한 대책이 시급하다"며 "통화정책이 아닌 재정정책으로 유효수요를 늘리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반론보도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