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과 같은 포털 뉴스 시장에서는 저질 뉴스의 범람, 중복기사와 어뷰징 기사의 남발, 의견의 왜곡과 독점, 정치적 편향성 확산과 같은 반민주적인 여론 시장을 막을 수 없다.”

한국온라인신문협회가 28일 개최한 ‘언론과 포털, 동반자인가 적대자인가’ 토론회에서 이완수 동서대 미디어커뮤니케이션 교수는 포털 중심의 뉴스 유통에 대해 이같이 지적했다.

이날 토론회에서 주제발표를 맡은 이 교수는 포털과 언론의 위상관계를 ‘백화점과 입점업체 간의 관계’라고 표현하며 포털이 뉴스 콘텐츠의 유통 권력을 독점하면서 언론에 ‘갑’이 되는 비대칭적인 권력 관계를 형성했다고 지적했다.

특히 이 교수는 “포털이 아웃링크제를 전면 도입하지 않는 한 소비자는 여전히 네이버 공간에서 뉴스를 소비할 수밖에 없다”고 전망하며 “네이버가 최근 발표한 뉴스·댓글 개선안은 언론사에 별다른 도움이 되지 못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한편, 이 교수는 “포털은 뉴스를 저널리즘 관점에서 다루는 것이 아니라 상업적 관점에서 접근하기 때문에 뉴스의 독자적 편집과 배열과정에 이해관계가 개입될 수밖에 없다”며 포털의 뉴스 유통 독점이 궁극적으로는 저널리즘의 훼손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통신사를 비롯해 주요 신문사, 방송사들이 포털을 완전히 탈퇴해 독자적으로 ‘뉴스 전문 포털사이트’를 만드는 것을 대안으로 제시했다.

두 번째 발제자인 한규섭 서울대 언론정보학과 교수는 포털 뉴스정책의 문제점으로 ‘가두리 양식’ 비즈니스모델을 지적하며, “기사의 품질과 무관하게 노출도만 높이면 언론사가 성립되는 모델로 인해 결국 기성언론사의 브랜드파워가 무시되는 현상을 가져왔다”며 “충분한 취재력을 갖춘 언론사가 생존 불가능한 언론 생태계를 야기시켰다”고 지적했다.

이어 한 교수는 언론 생태계의 복원을 강조하며 “언론사와 포털 업체에 5년 정도의 유예기간을 주는 방안을 생각해볼 수 있다. 포털은 뉴스를 팔아 수익을 올리지 않는 사업 모델을 찾을 시간이 필요하고, 언론사들도 트래픽 유입을 위해 대안적인 서비스를 만들 시간을 줘야 한다”고 말했다.

한 교수는 “이 기간을 거치면서 경쟁력을 갖추지 못한 언론사가 도태돼 건전한 언론시장을 회복할 수 있고, 포털 업체도 기술회사로서 정체성을 되찾을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이어진 토론 시간에서는 포털과 언론의 공생책에 대한 논의와 더불어 포털과 별개로 디지털 시대에 맞는 언론의 자구책 모색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왔다.

토론자로 나선 김병희 서원대 광고홍보학과 교수는 “언론사에서는 포털의 여론 독점에 문제가 있으므로 포털이 주도하는 뉴스선택과 편집 권한을 폐지해야 한다고 주장하지만 좀 더 솔직하게는 뉴스 수용 패턴이 변해 광고 수익 저하에 대한 위기의식이 반영된 것”이라며 “언론과 포털 간의 갈등 요인의 핵심은 광고 수익 문제에서 출발했다”고 분석했다.

임종섭 서강대 커뮤니케이션학부 교수는 "지난해 로이터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언론 이용자의 뉴스신뢰도는 36개국 가운데 꼴찌"라며 "언론사들의 뉴스 콘텐츠 역량을 강화하고 독자가 필요한 정보를 충분히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이나연 성신여대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는 "언론사들이 웹·모바일·앱 혁신을 위해 어떤 노력을 했는지 의문"이라며 "디지털미디어 시대에 맞는 언론사 플랫폼 혁신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반론보도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